요즘 물가도 많이 올랐고, 대중교통비도 올라 출퇴근 비용 마저 부담스러운데요.
대중교통을 매일 이용하는 분들이라면 필수! 꿀정책! 바로 K-패스 교통비 환급 정책에대해 알려드리려고해요
2024년부터 시행된 K패스 정책은 2025년을 맞아 혜택이 더 강력해져서 돌아왔다고해요ㅎ
이 포스팅에서 K-패스가 무엇인지 어떤 혜택이 있는지, 어떻게 신청하고 환급받는지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.
🚍 K-패스란?
K-패스는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시행하는 교통비 환급 제도입니다.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국민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고, 친환경 교통 이용을 장려하기 위한 취지로 시작되었죠.
한마디로 말해, 정해진 횟수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월 최대 일정 비율을 환급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🚍 누구한테 얼만큼 환급해주나?
일반 국민 | 20% |
청년(만 19~34세) | 30% |
저소득층 | 53% |
다자녀 가구 (자녀 2명 이상, 만 18세 이하 1명 이상) | 30% |
다자녀 가구 (자녀 3명 이상) | 50% |
단,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에만 적용되고, 최대 60회까지 환급 가능해요. 하루 최대 2회까지만 환급 대상입니다.
저는 하루 한번 퇴근할때 지하철을 이용하는데요. 대구 기준으로 교통비가 1,500원이니까 월 3만원정도 교통비로 쓰고 20%를 환급받으면 대략 월 6천원 정도 돌려받네요 6천원이면 1년에 7만원정도가 환급되니까 연말정산환급보다 쏠쏠하네요
치킨3마리? 국밥7그릇?

🚍 신청은 어떻게해?
저도 사실 이런 정책을 전혀 모르고있다가 항상들어가는 카카오뱅크앱에 '춘식이 출근시키기'라는 메뉴가 보여서 눌러봤는데 좋은환급정책이 있길래 신청하게되었답니다!
카카오뱅크에서는 K패스카드를 만들면 게임을 할 수 있는데요 한번밖에 할 수 없긴하지만 650원을 받았어요 요것쫌 꿀잼!
1. K-패스 카드 발급
신한, KB국민, 우리, 하나, 삼성, 현대, NH농협, BC, 롯데, 카카오뱅크, iM뱅크 등 에서 K패스교통카드를 신청 가능
2. 회원가입 및 카드 등록
→ K-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 후 발급받은 카드 등록!
3. 대중교통 이용
→ 등록된 K-패스 카드로 버스,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자동으로 누적됩니다.
4. 월 단위로 환급
→ 매월 말일 기준으로 이용횟수를 계산해, 다음 달 20일 전후에 환급금이 지급돼요.

환급금은 지급일로부터 5년 이내에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됩니다.
⚠️ 이거 진짜 꼭 필독!
- K-패스는 서울시 기후동행카드와 중복 적용 불가입니다.
- 첫 달에는 15회 미만 이용해도 환급 가능
- 주민등록 기준으로 참여 지자체에 주소지가 있어야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환급은 자동이 아니니, 반드시 카드 등록 및 회원가입 후 이용해야 해요!
저는 카드만 만들면 자동으로 환급될 줄 알고 그냥 사용했는데 K-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 후 발급받은 카드 등록! 후에 사용해야만 환급이 되더라구요ㅠㅠㅠㅠㅠㅠ
한달은 환급도못받고 날렸어요 내 육천원!!!!!!!!
K패스 홈페이지에 가입하고 등록한 후 로그인하시면 요렇게 내 환급금액을 확인 할 수있으니까 꼭 등록하고 사용하세요
출퇴근, 등하교, 약속 등으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분이라면 K-패스는 말 그대로 공짜로 돈을 돌려주는 제도예요. 특히 청년, 다자녀 가구, 저소득층에겐 체감 혜택이 더 크기 때문에 꼭 챙기셔야 합니다.
지금 바로 K-패스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본인에게 맞는 카드부터 발급받고, 교통비 돌려받는 꿀정책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!